일봉신문 제541호 봉축사 기획특집 -불기2569년 (2025년) 봉축사
일봉신문 제541호 봉축사 기획특집 -불기2569년 (2025년) 봉축사
봉축사
부처님 오신 날에 생각하는 선 명상은 무엇인가?
관음불교대학 이사장 (주)일신문사 부총재 관음사 창건주
성월 송수양 대법사
불교의 생명은 깨달음에 있습니다.
깨달음이란 무엇입니까?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바로 구경각입니다.
- 구경각(究竟覺)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중득(證得)
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 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합니다.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말들이 여럿 있습니다. 보리 (菩提) 또는 각(覺)도 깨달음이란 뜻입니다.
묘각(妙覺)이란 말도 깨달음입니다. 묘각지(妙覺地)• 묘각해지(妙覺海地) • 묘과(妙果)도 깨달음의 뜻입니
다.
적멸심(寂滅心)•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도 깨달음의 뜻입니다.
보리(菩提)• 대보리(大菩提)도 깨달음입니다. 반야(般若)•마하반야(摩訶般若)도 결국 깨달음의 다른 표현 입니다.
여러 불교 종파와 경전에는 구경을 깨우치게 되는 선정(禪定)도 거론하는데 예컨대 <화엄경>과 화엄종 의 교의에 따르면, 해인삼매(海印三昧)에 의거해 <수능엄경>에 따르면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에 의거해 구경각을 깨치게 된다. 하였습니다.
대승불교의 주요 논서 중 하나인 〈대승기신론> 에서 는 시각(始覺), 즉 수행을 통해 증득한 깨달음의 경지 의 차이를 불각(不覺)•상사각(相似覺)•수각각(隨分覺)• 구경각(究竟覺)의 4각(四覺) 으로 나누어 설명하 고 있습니다.
이제 불자들은 부처님 오신 날에 단순하게 봉축만하 는 의례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고오타마 싯다르타는 왜 출가를 했으며, 왜 설산에서 6년간 고행을 했으며,
45년간 길에서 살면서 삼승 십이분교의 가르침을 폈 는데, 8만4천 법문을 설하신 것은 도대체 누구를 위하 여 하신 것인지 우리는 한번 진지하게 분석하고 이해 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결국은 깨달음인데 이 깨달음을 성취하는 데는 바로 선 명상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입니다.
선이나 명상은 다 같은 말입니다. 명상은 자신의 참된 자아를 깨닫기 위해서 마음을 집중시키는 일을 가리킵 다만 명상을 지도하는 단체의 성격, 집중의 목적, 집 중의 대상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명상이 나뉠 수 있습니다.
현대적 의미의 명상은 마음을 집중해서 얻게 되는 신 체적 심적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대체의학 또는 심리 치료의 성격이 강하며, 전통적 의미의 명상은 명상을 지도하는 수행단체나 종교단체의 이념과 관계가 깊습 현대 과학에 의해서 많은 부분(뇌와 명상의 관계나, 명상과 심리 등)이 연구되고 밝혀지고 있으며, 예를 들 어 명상을 할 때의 두뇌의 파장 등을 검증하여 이것이 두뇌 및 신체 호로몬에 주는 영향 등이 논문으로 발표 되었습니다.
결국 명상을 하되, 불교적인 방법인 선 수행을 해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올해 부처님 오신 날에는 단순하게 봉축행사만을 할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라도 불법을 제대로 알 수 있는 정법 포교를 하는 그런 봉축행사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봉축사
내 자신의 마음이 바로 서야
일봉신문사 운영이사
관음사 주지
박혜강 종사
오늘은 거룩하고 행복과 자비광명의 빛이 온 평화가 넘치는 행복한 세상이 되도록 기원드립
누리를 비추는 환희심이 가득한 뜻깊은 날입니다.
사회적으로 혼란의 시대가 드리우고 이런 시국현황에서도 대자대비의 실천과 생명의 존귀함을 더하는 거룩한 부처님오신 날입니다.
우리 불자님들께서는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자 신을 바로 보고 부처님 말씀 세기며, 깨달음의 정진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삼고 지혜로운 생활 에 전념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세계 경제의 어려움속에 국내도 정치, 경제, 모 든 분야가 혼란의 위기를 맞고 있으며, 시름은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위기 상황 속에서도 끗끗하게 버팀목 역 할을 하는 것이 위대한 국민들의 마음이 바로 섯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일봉신문사 운영이사 관음사 주지
박혜강 종사
내 자신의 조그마한 탐욕심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고 서로 상생하고 대화가 없는 세상은 무의 미 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생들의 바른 마음 자세가 아름다운 세상을 살아가는 힘의 원천이며, 자기 자신을 더불어
세상에 평안을 마음에 자비를…
#관음사 #서울사찰 #성북동관음사 #관음기도 #부처님오신날 #서울가볼만한곳 #힐링여행 #서울명소 #불교문화체험 #전통사찰 #성북동사찰 #송수양대법사 #일붕신문사 #관음불교대학 #연등행사 #기도도량 #서울힐링스팟 #박혜강주지스님 #대한불교관음사 #관음불교대학 #정릉사찰 #관음불교포교원 #성북동사찰